
지난 2019년 12월, 국제앰네스티는 22개국에서 Z세대 1만명을 대상으로 인류의 미래라는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우리에게 지금 가장 중요한 과제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었는데요. 인류의 미래들은 어떤 것을 고민하고 있고, 어떤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할까요?

데이터를 보시면 연두색 그래프가 한국이고, 흰색 그래프가 세계 응답자입니다.
전세계가 직면한 23가지 과제 중 최대 5개를 선정하라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41%는 기후변화를 꼽았고, 오염은 36%였습니다. 가장 심각한 과제를 환경오염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죠.
Z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다르게 환경문제를 소수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의 문제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가 MZ세대에게 확실히 대표적인 위기로 인식되고 있음을 우리는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사회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경제 불안정, 소득 불평등, 부패 등이 주요 해결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참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

가장 중요한 환경 문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세계적으로는 지구 온난화를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고,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와 같이 생활에 직결되는 문제인 대기오염을 가장 큰 문제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문제의 인식은 바로 나를 기준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집중되어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지난 2019년 12월, 국제앰네스티는 22개국에서 Z세대 1만명을 대상으로 인류의 미래라는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우리에게 지금 가장 중요한 과제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었는데요. 인류의 미래들은 어떤 것을 고민하고 있고, 어떤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할까요?
데이터를 보시면 연두색 그래프가 한국이고, 흰색 그래프가 세계 응답자입니다.
전세계가 직면한 23가지 과제 중 최대 5개를 선정하라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41%는 기후변화를 꼽았고, 오염은 36%였습니다. 가장 심각한 과제를 환경오염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죠.
Z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다르게 환경문제를 소수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의 문제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가 MZ세대에게 확실히 대표적인 위기로 인식되고 있음을 우리는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사회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경제 불안정, 소득 불평등, 부패 등이 주요 해결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참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
가장 중요한 환경 문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세계적으로는 지구 온난화를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고,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와 같이 생활에 직결되는 문제인 대기오염을 가장 큰 문제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문제의 인식은 바로 나를 기준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집중되어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