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023 건강 트렌드는?
각종 빅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3 건강 트렌드를 분석한 내용이 있어요.
1) 면역력 강화 : 건강기능식품 인기 지속
2) 셀프 메디케이션 : 디지털 기반의 셀프 헬스케어
3) 마음 챙김 : 명상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 추구
4) 소식 열풍 : 먹방의 감소와 소식좌 인기
5) 건강 짠테크 : 건강 챙기며 돈도 버는 앱테크
2. 📞 전화 공포증 (phone phobia) 확산
전화 공포증은 소셜미디어(SNS) 등으로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는 데 익숙한 MZ세대 등 젊은 층이 전화 통화를 할 때 느끼는 불안감을 의미합니다. 기업에서 일하는 젊은 직원들은 이러한 공포증으로 인해 업무통화에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으며, 소통상의 비효율이 뒤따르고 있다고 미국 경제매체 인사이더는 설명했는데요. 존스홉킨스대 임상 심리 연구 책임자 앨리슨 파파다키스는 “MZ세대는 문자와 짧은 메시지가 주된 소통 수단이기 때문에 전화 통화 경험이 매우 적다”고 말했습니다. 심지어 캐나다에서는 전화 공포증을 해결하기 위한 유료 컨설팅 서비스까지 나왔다고 합니다.
3. 🙋 ZRT(Z세대 라운드 테이블)
롯데마트는 Z세대의 소비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대학생 싱크탱크 프로그램 ZRT(gen Z Round Table)를 운영해요. ZRT는 내년 3월까지 잠실 롯데마트 본사와 영등포 리테일 아카데미 등에 방문해 정기적인 포커스 그룹 디스커션(FGD)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인터뷰 방식이 아닌 토론 방식이라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4. 🌗 워라밸에서 워라블로
워라블은 '일과 삶을 융합하다(Work-Life Blending)'를 줄인 말로, 업무와 일상의 균형을 추구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에서 파생되었어요. 워라밸과 달리 워라블은 업무와 일상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의미해요. 코로나19 이후 MZ세대 사이에서 더욱 워라블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기업들은 업무 자율성만 높이는 게 아니라 회사 내에서 효율적인 삶을 추구해 회사를 떠나지 않도록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5. 😉 알빠임과 중꺽마
요즘 온라인에서 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표현 중에 ‘알빠임’, ‘중꺾마’라는 말이 있어요. ‘알빠임’은 ‘당신이 누군지 내가 알 바 아니다'의 줄임 말로, 아무리 상대팀 전력이 강해도 누구인지 신경 쓰지 않겠다는 뜻이예요. 중꺾마는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의 줄임 말로 올해의 스포츠 명언으로 꼽히는데요. 실패를 두려워하기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해 보는 Z세대의 또다른 특성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트렌드 이슈 관련 기사 보기
NO. | 기사 | 바로가기 |
1 | 빅데이터로 살펴본 2023 건강 트렌드 : 뉴스 - 동아일보 | GO |
2 | MZ세대 '전화공포증' 아시나요…젊은직원들 1대1 코치도 - 콜로라도 타임즈 - Colorado Times | GO |
3 | 롯데마트 대학생 싱크탱크 프로그램 운영Z세대 의견 듣는다 - 한국경제TV | GO |
4 | [신조어]워라블 | 서울경제 | GO |
5 | [Ecoknow] Z세대의 기업가정신 - 네이트 뉴스 | GO |

1. 💪 2023 건강 트렌드는?
각종 빅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3 건강 트렌드를 분석한 내용이 있어요.
1) 면역력 강화 : 건강기능식품 인기 지속
2) 셀프 메디케이션 : 디지털 기반의 셀프 헬스케어
3) 마음 챙김 : 명상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 추구
4) 소식 열풍 : 먹방의 감소와 소식좌 인기
5) 건강 짠테크 : 건강 챙기며 돈도 버는 앱테크
2. 📞 전화 공포증 (phone phobia) 확산
전화 공포증은 소셜미디어(SNS) 등으로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는 데 익숙한 MZ세대 등 젊은 층이 전화 통화를 할 때 느끼는 불안감을 의미합니다. 기업에서 일하는 젊은 직원들은 이러한 공포증으로 인해 업무통화에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으며, 소통상의 비효율이 뒤따르고 있다고 미국 경제매체 인사이더는 설명했는데요. 존스홉킨스대 임상 심리 연구 책임자 앨리슨 파파다키스는 “MZ세대는 문자와 짧은 메시지가 주된 소통 수단이기 때문에 전화 통화 경험이 매우 적다”고 말했습니다. 심지어 캐나다에서는 전화 공포증을 해결하기 위한 유료 컨설팅 서비스까지 나왔다고 합니다.
3. 🙋 ZRT(Z세대 라운드 테이블)
롯데마트는 Z세대의 소비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대학생 싱크탱크 프로그램 ZRT(gen Z Round Table)를 운영해요. ZRT는 내년 3월까지 잠실 롯데마트 본사와 영등포 리테일 아카데미 등에 방문해 정기적인 포커스 그룹 디스커션(FGD)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인터뷰 방식이 아닌 토론 방식이라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4. 🌗 워라밸에서 워라블로
워라블은 '일과 삶을 융합하다(Work-Life Blending)'를 줄인 말로, 업무와 일상의 균형을 추구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에서 파생되었어요. 워라밸과 달리 워라블은 업무와 일상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의미해요. 코로나19 이후 MZ세대 사이에서 더욱 워라블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기업들은 업무 자율성만 높이는 게 아니라 회사 내에서 효율적인 삶을 추구해 회사를 떠나지 않도록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5. 😉 알빠임과 중꺽마
요즘 온라인에서 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표현 중에 ‘알빠임’, ‘중꺾마’라는 말이 있어요. ‘알빠임’은 ‘당신이 누군지 내가 알 바 아니다'의 줄임 말로, 아무리 상대팀 전력이 강해도 누구인지 신경 쓰지 않겠다는 뜻이예요. 중꺾마는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의 줄임 말로 올해의 스포츠 명언으로 꼽히는데요. 실패를 두려워하기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해 보는 Z세대의 또다른 특성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트렌드 이슈 관련 기사 보기
빅데이터로 살펴본 2023 건강 트렌드 : 뉴스 - 동아일보
MZ세대 '전화공포증' 아시나요…젊은직원들 1대1 코치도 - 콜로라도 타임즈 - Colorado Times
롯데마트 대학생 싱크탱크 프로그램 운영Z세대 의견 듣는다 - 한국경제TV
[신조어]워라블 | 서울경제
[Ecoknow] Z세대의 기업가정신 - 네이트 뉴스